11. 서비스
쿠버네티스의 서비스에 대하여
#
서비스본 챕터에서는 서비스를 학습할 것이다.
k8s에서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은 항상 변하는 파드의 IP 주소를 대표하기 위해 서비스라는 오브젝트가 존재한다고 한다.
여기서는 서비스의 네 종류에 대해서 공부할 것이다.
#
ClusterIP서비스를 만들 때 서비스 타입을 명시하지 않으면 ClusterIP로 만들어진다.
ClusterIP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표 IP 주소로 받으며, 내부 DNS에 서비스명과 대표 IP 주소를 등록하고 삭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이름에 대한 대표 IP를 내부 DNS에 물어서 반환받고, 전달받은 대표 IP로 서비스에 요청한다.
매니페스트에
clusterIP: None
이라고 지정하면 헤드리스 설정으로 서비스가 동작된다.- 이 때 서비스는 대표 IP 주소를 획득하지 않으며, 부하분산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 대신 파드들의 IP 주소를 내부 DNS에 등록하여 파드 IP 주소 변경에 대응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
#
NodePortClusterIP + 노드의 IP 주소에 공개 포트가 열린다.
공개 포트의 범위는 30000 ~ 32767
클라이언트가 노드의 IP와 포트로 전송한 요청은 최종적으로 파드에 전달된다.
NodePort 타입의 서비스를 생성하면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 지정한 포트가 열린다.
각 노드가 수령한 요청은 대상이 되는 파드들에게 부하 분산되어 전송된다.
- 이 때 요청을 받은 노드 내에 있는 파드로만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 노드 앞에 로드밸런서가 있다면 매우 유용한 설정이다.
사용자가 특정 노드를 지정해 접속하고 있는데 해당 노드가 하드웨어 점검 등의 이유로 셧다운 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 이미 사용중인 포트를 설정하면 매니페스트 배포 과정에서 실패한다.
- 네임 스페이스로 k8s 클러스터를 분할하여 운용할 때는 이런 문제를 조심해야한다.
NodePort는 쉽고 편리하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정식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한다.
#
LoadBalancerLoadBalancer는 로드밸런서와 연동하여 파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 공개한다.
LoadBalancer는 NodePort를 사용하며 ClusterIP도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NodePort Type Service + ClusterIP Type Service = LoadBalancer Type Service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각 업체가 제공하는 로드밸런서가 연동된다.
#
ExternalName지금까지 살펴본 것들과 반대로, 파드에서 k8s 클러스터 외부의 엔드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이름을 해결해준다.
가령 퍼블릭 클라우드의 DB 라던지, API 등이 그 예이다.
ExternalName는 서비스의 이름과 외부 DNS 이름의 매핑을 내부 DNS에 설정한다.
이를 통해 파드는 서비스의 이름으로 외부 네트워크의 엔드포인트에 접근할 수 있다. 단 포트번호는 지정할 수 없다.
단 외부 DNS를 등록하는 항목
spec.externalName
에는 IP 주소를 설정할 수 없다.
#
서비스와 파드의 연결서비스가 요청을 전송할 파드를 결정할 때는 셀렉터의 라벨과 일치하는 파드를 etcd로 부터 선택한다.
서비스의 매니페스트에 기술하는 셀렉터와 파드의 매니페스트에 기술하는 라벨을 구체적으로 비교해보자.
이처럼 라벨에 의해 전송되는 파드를 결정하는 방식은 굉장히 큰 유연성을 가져다준다.
셀렉터의 값을 바꾸는 것만으로 서비스가 전송하는 파드의 그룹을 바꿀 수 있으므로 운영상의 유연성을 가져갈 수 있다.
그러나 라벨이 중복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레벨에서 라벨이 중복되지 않도록 운영 규칙을 잘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서비스의 매니페스트 작성법- kind : Service 설정
- apiVersion : v1 설정
- metadata: name에 네임스페이스 내 유일한 이름 설정. 여기서 정한 이름은 내부 DNS에 등록되며 IP 주소 해결에 사용된다. 또한 이후 기동된 파드의 환경 변수에 설정
- spec : 서비스의 사양
- type : 서비스 공개 방법을 설정. 선택이 가능한 타입은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ExternalName 네 가지
- ports : 서비스에 의해 공개되는 포트번호
- port : 필수 항목, 이 서비스에 의해 공개되는 포트번호
- name : port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 가능. 여러개인 경우 필수 설정 필요. 각 포트의 이름은 서비스 내에서 유일해야한다.
- protocol : 기본은 TCP, UDP도 가능
- nodePort : 생략 시에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할당하며 type이 NodePort나 LoadBalancer인 경우 모든 노드에서 포트를 공개한다. 설정한 포트가 이미 사용중이라면 오브젝트 생성에 실패.
- targetPort : 생략 시에는 port와 동일한 값이 사용. 셀렉터에 의해 대응되는 파드가 공개하는 포트번호, 또는 포트 이름을 설정한다.
- selector : 여기에 설정한 라벨과 일치하는 파드에 요청을 전송한다. 이 항목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외부에서 관리하는 엔드포인트를 가진 것으로 간주한다.
- sessionAffinity : 설정이 가능한 세션 어피니티는 ClientIP. 생략 시 Node로 설정된다.
- clusterIP : 대표 IP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된다. None으로 설정하면 헤드리스로 동작.
#
세션 어피니티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클라이언트에서 온 요청은 언제나 같은 파드에 전송하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매니페스트의 세션 어피니티를 ClientIP로 설정하면 된다.
#
NodePort#
로드밸런서#
ExternalName외부 IP 주소 10.132.253.7
를 api-on-baremetal
이라는 서비스 이름으로 등록하고 있다.
ExternalName을 사용하면 k8s 클러스터와 기존 시스템을 쉽게 조합할 수 있다.
#
핵심 요약#
1)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한 오브젝트로서 부하분산 기능을 포함한다. 서비스 타입에 따라 공개 방법과 범위가 다르다#
2) 서비스 타입 ClusterIP를 사용하면 k8s 클러스터 내부에서 접속할 수 있으며, NodePort를 사용하면 외부에서 노드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로 접속할 수 있다. LoadBalancer를 사용하면 k8s 클러스터 외부에서 대표 IP 주소로 접근이 가능하다#
3) 서비스 타입 ExternalName은 k8s 클러스터 외부의 DNS 이름을 서비스 이름으로 등록한다. 서비스명과 IP 주소를 매핑하고 싶은 경우에는 헤드리스 서비스를 검토한다#
4) 서비스의 부하분산 알고리즘은 랜덤이다. 세션 어피니티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별로 전송될 파드를 고정할 수 있다. 서비스에는 HTTP 헤더의 쿠키에 의한 세션 어피니티 기능은 없다. 해당 기능이 필요하다면 인그레스를 사용하자#
5) 서비스가 받은 요청을 전달할 파드는 라벨에 의해 결정된다#
6) NodePort를 사용해도 외부에 애플리케이션을 공개할 수 있지만 가용성이 부족하여 정식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LoadBalancer는 가용성도 있고, HTTP와 HTTPS를 사용할 수 있어 정식 서비스에 적합하다#
Reference15단계로 배우는 도커와 쿠버네티스 - 타카라 마호 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