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ible 튜토리얼 - 활용
어떻게 Ansible을 활용할 수 있을까
Ansible을 사용해서 노드들에게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보자.
uptime 확인
디스크 용량 확인
메모리 상태 확인
새로운 유저 생성
파일 전송
서비스 설치
uptime 확인

-a 옵션은 arguemnt 옵션으로써 쉘 명령어로 입력할 명령을 주는 옵션이다.
등록된 노드들의 uptime을 확인하였다.
디스크 용량 확인

df는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h는 human readable 약자이다.
메모리 확인

free는 메모리 확인을 위한 명령어이다.
새로운 유저 만들기

Node에 접속하여 해당 유저가 잘 생성되었는지 cat /etc/passwd 명령을 입력해보자.

만들어진 계정이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전송하기
어쩌면 굉장히 유용한 기능이 아닐까 싶다.
Ansible Master Node에서 관리하는 Node에게 동일한 파일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는 빈번하게 발생한다.

우리는 dummy.json 파일을 Ndoe들에게 전송해보자.

여기서 src는 현재 내가 전송할 파일의 위치이고 dest는 해당 Node에서 어떤 위치에 이 파일을 저장할지 위치를 나타낸다.
제대로 잘 전송이 됐는지 확인해보자.

tmp 폴더로 전송해야하는데 오타가 나서 tep로 전송했다.
보다시피 잘 전송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설치
현재 Node들은 순수 우분투 이미지를 기본으로 했기 때문에 아무런 서비스들도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우리는 Ansible을 이용해 관리하는 노드들에게 git을 설치해보자.

뭔가 엄청나게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노드에서 git 명령어를 실행해보자.

git이 제대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
인프런 조훈님 강의 - 처음부터 설치하며 배우는 An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