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 도메인 주도 설계 2장
in Development on DDD
DDD - 도메인 주도 설계
앞으로 적어갈 글은 최범균님의 저서 DDD START!를 읽고 요약 - 정리한 글입니다.
제 2장 : 아키텍처 개요
제 2장 아키텍처 개요
네 개의 영역
아키텍처를 설계 할 때 출현하는 전형적인 영역은 표현, 응용, 도메인, 인프라스트럭처의 네 영역이다.
응용 레이어는 도메인 모델에 로직 수행을 위임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표현 영역은 HTTP 요청을 응용 영역이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응용 영역에 전달하고 응용 영역의 응답을 HTTP 응답으로 변환해서 정송한다.
응용 서비스는 로직을 직접 수행하기 보다는 도메인 모델에 로직 수행을 위임한다.
public class CancelOrder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String oderId) {
Order order = findOrderById(orderId);
if (order == null) throw new OrderNotFoundException(orderId);
order.cancel;
}
}
- 위 코드에서 주문 취소 로직을 도메인 모델에 위임하고 있다.
도메인 영역은 도메인 모델을 구현한다.
도메인 모델은 도메인의 핵심 로직을 구현한다.
주문 도메인의 경우 배송지 변경, 결제 완료, 주문 총액 계산과 같은 핵심 로직을 도메인 모델에서 구현한다.
인프라 스트럭처 영역은 RDBMS 연동, 메시징 큐에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몽고 DB or HBase를 사용해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처리한다.
이 영역은 SMTP를 사용하여 메일 발송 기능을 구현하거나 HT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해 REST API를 처리하는 것 또한 처리한다.
계층 구조 아키텍처
네 영역을 구성할 때 많이 사용하는 아키텍처가 위와 같은 계층 구조이다.
표현 영역과 응용 영역은 도메인 영역을 사용하며, 도메인 영역은 인프라 스트럭쳐 영역을 사용하므로 계층 구조라 할 수 있다.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을 의존할 뿐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의존하지 않는다.
하지만 구현의 편리함을 위해 계층 구조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응용 계층은 바로 아래 계층인 도메인 계층에 의존해야하지만,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더 아래 계층인 인프라스트럭처 게층에 의존하기도 한다.
응용 영역과 도메인 영역이 DB나 외부 시스템 연동을 위해 인프라 스트럭처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얼핏 그럴싸해보인다.
그러나 표현, 응용, 도메인 계층이 상세한 구현 기술을 다루는 인프라스트럭처 계층에 종속되게 된다.
이것이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까?
도메인의 가격 계산 규칙을 정할 때 할인 금액 계산 로직이 복잡해지면 객체 지향으로 로직을 구현하는 것 보단 룰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
다음은 Drools라는 룰 엔진을 사용해서 로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 스트럭처 코드이다. (Drools는 무시해도 된다.)
핵심은 evalute() 메서드에 값을 주면 별도 파일로 작성한 규칙을 이용해서 연산을 수행하는 코드라는 것 정도만 이해하고 넘어가자.
public class DroolsRuleEngine {
private KieContainer kContainer;
public void evalute(String sessionName, List<?> facts) {
...
}
}
public class CalculateDiscountService {
private DroolsRuleEngine ruleEngine;
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OrderLine orderLines, String customerId) {
Customer customer = findCusotmer(customerId);
MutableMoney money = new MutableMoney(0);
facts.addAll(orderLines);
ruleEngine.evalute("discountCalculation", facts);
return money.toImmutableMoney();
}
}
응용 영역은 가격 계산을 위해 인프라스트럭처 영역의 DroolsRuleEngine을 사용했다.
여기서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 CalculateDiscountService만 테스트 하기가 어렵다. CalculateDiscountService는 RuleEngine에 의존하므로 RuleEngine에 관련된 클래스와 관련 설정 파일을 모두 만들어야 비로소 작동할 것이다.
- 구현 방식을 변경하기 어렵다. calculateDiscount 메소드의 “discountCalculation” 문자열은 Drools의 세션 이름이다. Drools의 세션 이름을 변경하면 CalculateDiscountService의 코드도 같이 변경되어야한다.
인프라스터럭처 계층에 의존하면 테스트의 어려움과 기능 확장의 어려움이 생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DIP를 적용해야한다.
DIP
CalculateDiscountService는 고수준 모듈이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하위 기능이 필요하다.
고수준 모듈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저수준 모듈을 사용해야한다.
그런데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에 의존하면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문제(구현 변경과 테스트 어려움)이 발생한다.
DIP는 저수준 모듈이 고수준 모듈에 의존하도록 바꾼다. (객체지향 5요소 중 5번째 그것으로 보인다.)
CalculateDiscountService가의 입장에서 룰 적용을 Drools로 했는지, 자바로 했는지 중요하지 않다.
단지 고객 정보와 구매 정보에 룰을 적용해서 할인 금액을 구한다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 이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RuleDiscounter {
public Money applyRules(Customer customer, List<OrderLine> orderLines);
}
- CalculateDiscountService가 RuleDiscounter를 이용하도록 바꿔보자.
public class CalculateDiscountService {
private CustomerRepository customerRepository;
private RuleDiscounter ruleDiscounter;
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OrderLine orderLines, String customerId) {
Customer customer = customerRepository.findCusotmer(customerId);
return ruleDiscounter.applyRules(customer, orderLines);
}
}
- CalculateDiscountService는 더이상 Drools에 의존하는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public class DroolsRuleDiscounter implements RuleDiscounter{
private KieContainer kContainer;
@Override
public void applyRules(Customer customer, List<OrderLine> orderLines) {
...
}
}
- DroolsRuleDiscounter를 RuleDiscounter의 구현체로 변경한다.
- CalculateDiscountService는 RuleDiscounter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며 DroolsRuleDiscounter는 고수준의 하위 기능인 RuleDiscounter를 구현한 것이므로 저수준 모듈에 속한다.
- 이제는 저수준 모듈이 고수준 모듈에 의존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DIP 주의사항
DIP는 단순히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를 분리하는 정도로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DIP의 핵심은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에 의존하지 않기위함이다.
이 구조는 잘못된 구조이다.
도메인 영역은 구현 기술을 다루는 인프라스트럭처 영역에 여전히 의존하고 있다.
즉 여전히,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 이를 염두해서 항상 저수준 모듈이 고수준 모듈에 의존하게 설계하도록 하자.
DIP와 아키텍처
인프라스터럭처 영역은 구현 기술을 다루는 저수준 모듈이며, 응용 영역과 도메인 영역은 고수준 모듈이다.
아키텍처에 DIP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영역이 응용 영역과 도메인 영역에 의존하는 구조가 된다.
- DIP를 적용하면 응용 영역과 도메인 영역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구현체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도메인 영역의 주요 구성요소
엔티티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 객체로 자신의 라이프 사이클을 갖는다.
주문, 회원, 상품 등과 같이 도메인의 고유한 개념을 표현한다.
도메인 모델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밸류
- 고유의 식별자를 갖지 않는 객체로 주로 개념적으로 하나인 도메인 객체의 속성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된다.
애그리거트
- 애그리거트는 관련된 엔티티와 밸류 객체를 개념적으로 하나로 묶은 것이다. 예를 들어, 주문과 관련된 Order 엔터티, OrderLine 밸류, Orderer 밸류 객체를 주문 애그리게이터로 묶을 수 있다.
리포지토리
- 도메인 모델의 영속성을 처리한다. DBMS 테이블에서 엔티티 객체를 로딩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메인 서비스
특정 엔티티에 속하지 않은 도메인 로직을 제공한다.
“할인 금액 계산”은 상품, 쿠폰, 회원 등급, 구매 금액 등 다양한 조건을 이용해서 구현하게 되는데, 이렇게 도메인 로직이 여러 엔티티와 밸류를 필요로 할 경우 도메인 서비스에서 로직을 구현한다.
엔티티와 밸류
도메인 모델의 엔티티와 DB 모델의 엔티티는 같은 것이 아니다.
두 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도메인 모델의 엔티티는 데이터와 함께 도메인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예를 들어, 주문을 표현하는 엔티티는 주문과 관련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배송지 주소 변경을 위한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밸류는 가급적이면 불변으로 구현하는 것을 권장하는데, 이는 엔티티의 밸류 타입 데이터를 변경할 때는 객체 자체를 완전히 교체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애그리거트
도메인이 커질수록 개발할 도메인 모델도 커지면서 많은 엔티티와 밸류가 출현한다.
엔티티와 밸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모델은 점점 더 복잡해진다.
도메인 모델이 복잡해지면 개발자가 전체 구조가 아닌 한 개 엔티티와 밸류에만 집중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위 수준의 모델을 관리하기 보다 개별 요소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면 큰 수준에서 모델을 이해하지 못해 큰 틀에서 모델을 관리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질 수 있다.
도메인 모델에서 전체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이 애그리거트다!
애그리거트는 관련 객체를 하나로 묶은 군집이요, 군집에 속한 객체들을 관리하는 루트 엔티티를 갖는다.
루트 엔티티는 애그리거트에 속해 있는 엔티티와 밸류 객체를 이용해서 애그리거트가 구현해야할 기능을 제공한다.
애그리거트를 사용하는 코드는 애그리거트 루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에그리거트 루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애그리거트 내의 다른 엔티티나 밸류 객체에 접근하게 된다.
public class Order {
...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ShippingInfo shippinginfo) {
checkShippingInfoChangeable(); // 배송지 변경 가능 여부 확인
}
private Boolean checkShippingInfoChangeable() {
...
}
}
주문 애그리거트 루트는 Order이다.
Order는 애그리거트 루트이자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관리한다.
애그리거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3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리포지터리
도메인 객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RDBMS, NoSQL, 로컬 파일과 같은 물리적인 저장소에 도메인 객체를 보관해야한다.
이를 위한 도메인 리포지터리이다.
리포지터리는 애그리게이터 단위로 도메인 객체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정의한다.
도메인 모델 관점에서 OrderRepository는 도메인 객체를 영속화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추상화한 것이므로 고수준 모듈에 속한다.
기반 기술을 사용해서 OrderRepository를 구현한 클래스는 저수준 모듈로 인프라스트럭처 영역에 속한다.
리포지터리 인터페이스는 도메인 모델 영역에 속하며, 실제 구현 클래스는 인프라스트럭처영역에 속한다.
응용 서비스와 리포지터리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 응용 서비스는 필요한 도메인 객체를 구하거나 저장할 때 리포지터리를 사용한다.
- 응용 서비스는 트랜잭션을 관리하는데, 트랜잭션 처리는 리포지터리 구현 기술에 영향을 받는다.
요청 처리 흐름
스프링 MVC를 사용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면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는 표현 영역이 된다.
표현 영역은 사용자가 전송한 데이터 형식이 올바른지 검사하고 문제가 없다면 데이터를 이용해서 응용 서비스에 기능 실행을 위임한다.
또한 표현 영역은 사용자가 전송한 데이터를 응용 서비스가 요구하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전달한다.
응용 서비스는 도메인 모델을 이용해서 기능을 구현한다.
인프라스트럭처 개요
인프라스트럭처는 표현 영역, 응용 영역, 도메인 영역을 지원한다.
도메인 객체의 영속성 처리, 트랜잭션, SMTP 클라이언트, REST 클라이언트 등 다른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프레임워크, 구현 기술, 보조 기능을 지원한다.
DIP에서 언급했듯이 도메인 영역과 응용 영역이 인프라스트럭처의 기능을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이 두 영역에 정의한 인터페이스를 인프라스트럭처 영역에서 구현하는 것이 시스템을 더 유연하고 테스트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모듈 구성
아키텍처의 각 영역은 패키지에 위치한다.
패키지 구성 규칙에 한 개의 정답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와 같이 영역별로 모듈이 위치할 때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도메인이 크다면 하위 도메인으로 나누고 각 하위 도메인마다 별도 패키지를 구성하게 할 수 있다.
Domain 모듈은 도메인에 속한 애그리거트를 기준으로 다시 패키지를 구성한다.
위 예시는 카탈로그 하위 도메인을 위한 도메인은 상품 애그리거트와 카테고리 애그리거트로 구성된다고 할 경우, domain을 두 개의 하위 패키지로 구성해볼 수 있다.
모듈 구조를 얼마나 세분화 할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규칙은 없다.
한 패키지에 너무 많은 타입이 몰려서 코드를 찾을 때 불편한 정도만 아니면 된다.
저자는 한 패키지에 가능하면 10개 미만으로 타입 개수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이 개수가 넘어가면 모듈을 분리하는 시도를 해보자.
Reference
DDD START! - 최범균님 -
그림 및 코드 참조 : https://incheol-jung.gitbook.io/docs/study/ddd-start/1